JavaScript 기본 문법 정리

JavaScript 기본 문법 정리

1

4

이전에 노트에 기록했던 내용을 블로그로 옮겨놓으려고 한다. 매우 기본적인 문법만 들어있다.


1. 변수

자바스크립트에는 변수형(int, double, string)이 존재하지 않는다. var 이라는 가변형 변수만 존재하여 초기화 할때 형태에 따라서 알아서 할당된다.

var i;
var x = 123;
var y = "123";
var z = false;
var w = null;

덧붙히자면 var의 유효 범위는 함수 내부로 조건문이나 반복문 안에서 초기화 된 경우라도 함수 내부 블록이라면 어디서나 호출할 수 있다. 최신 자바스크립트에선 let이라는 가변형 블럭 지역 변수와 const라는 불변형 블럭 지역 변수가 추가되었다.

let x = 123;
x = "123";

const y = false;
y = null; // error


2. 연산자

+, -, *, /, % 등의 기본 연산은 물론 ++, --와 같은 증감 연산자도 사용할 수 있다.

a = a + 1 (x)
a += 1 (o)

이유는 모르겠지만 자바스크립트에서 a = a + 1 과 같은 표현은 쓰지 말라고 돼있다. 무조건 할당 연산자를 사용하라고 한다. 가독성을 위함일까? 또한 자바스크립트는 자바와 마찬가지로 스트링 컨케트네이션이 되므로 문자열을 덧셈기호로 간단히 붙힐 수 있다.

var s = "String1" + "String2";
console.log(s);
String1String2


3. 조건문

a==b
a!=b
a==b && a==c
a==b || a==c
a > b
if (a > b) {
    console.log("a is more than b.")
} else if (a == b) {
    console.log("a is the same as b.")
} else {
    console.log("a is less than b.")
}


4. 함수

선언과 호출은 아래와 같다.

function notify(message) {
    console.log('# NOTIFICAION : ' + message);
}

notify('say something');
# NOTIFITAION : say something

자바스크립트의 함수는 굉장히 다채롭게 선언할 수 있다. 가령 아래와 같이 함수를 생성할 수도 있다.

var notify = function (message) {
    console.log('# NOTIFICAION : ' + message);
}

notify('say something');

최근 자바스크립트 문법에선 화살표 함수라는 개념이 도입되어 아래와 같이 생성할 수도 있다.

var notify = () => {
    console.log('# NOTIFICAION : ' + message);
}

notify('say something');

위처럼 여러가지 형식을 가지고 있는데 정해진 규칙은 없으므로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일관성 있게 작성하면 된다. 필자의 경우에는 함수 내부의 함수나 익명 함수는 화살표 함수로 그 외에는 함수 선언식을 사용한다. 다만 화살표 함수의 경우 최신 문법이므로 구형 브라우저에선 인식되지 않는 점을 참고하자.

값을 반환하는 함수는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

function add(value1, value2) {
    return value1 + value2;
}

var a = 10;
var b = 20;
console.log(add(a, b));
30

화살표 함수로는 아래와 같이 표현

var add = (value1, value2) => value1 + value2;

console.log(add(10, 20));
30

화살표 함수의 경우 중괄호를 생략할 수 있으며, 중괄호를 생략할 경우 화살표 다음에 선언된 식이 return 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5. 배열

변수의 값이 연속적으로 나열된 형식


배열의 선언
var arr = new Array();
var arr = [];


배열에 값 삽입

초기화시 값 삽입

var careers = [
    "Warrior",
    "Archer",
    "Wizard"
];

인덱스를 이용하여 삽입

var careers = [];
careers[0] = "Warrior";
careers[1] = "Archer";
careers[2] = "Wizard";

push 메서드를 사용하여 삽입

var careers = [];
careers.push("Warrior");
careers.push("Archer");
careers.push("Wizard");


배열과 관련된 메소드
var careers = ["Warrior", "Archer", "Wizard"];
console.log("total careers : " + careers.length);
total careers : 3

length는 메서드가 아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서 Array는 하나의 객체이며 lengthArray가 가진 멤버 변수다. 배열의 길이가 필요할 때마다 길이를 읽어오는 것 보단 O(N) 길이를 가지고 있는게 O(1) 효율적일 테니까.


var careers = ["Warrior", "Archer", "Wizard"];
console.log("careers : " + careers.join(", "));
careers : Warrior, Archer, Wizard

join은 배열을 붙여 하나의 문자열로 만들어 준다.


var careers = ["Warrior", "Archer", "Wizard"];
console.log("careers : " + careers.reverse().join(', '));
careers: Wizard, Archer, Warrior

reverse는 배열을 반대로 뒤집는 역할을 한다.


var careers = ["Warrior", "Archer", "Wizard"];
console.log("careers : " + careers.sort().join(', '));
careers : Archer, Warrior, Wizard

sort는 배열을 정리한다. 현재는 알파뱃 순서대로 정렬되고 있다. sort에 함수를 전달하면 자신이 원하는 방식대로 정렬할 수 있다.


var careers = ["Warrior", "Archer", "Wizard"];
var careersOnDlc = ["Assassin", "Samurai"]
console.log("careers : " + careers.concat(careersOnDlc).join(', '));
careers : Warrior, Archer, Wizard, Assassin, Samurai

concat은 두 배열을 합쳐주는 역할을 한다.


var careers = ["Warrior", "Archer", "Wizard"];

var x = careers.push("Devil", "Outlaw");
console.log("total careers after push : " + x);

var y = careers.pop();
console.log("pop career : " + y);
total careers after push : 5
pop careers : Outlaw

pushpop은 자료구조 Stack에서 다뤄지며 여기서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push는 맨 뒤에 요소를 삽입 pop은 맨 뒤 요소를 꺼내는 것이다. 주로 팬케이크에 비유되곤 한다.

pushreturn typepush 후 배열의 길이이고 popreturn type은 꺼내진 개체다.


var careers = ["Warrior", "Archer", "Wizard"];

var x = careers.shift();
console.log("shift career : " + x);

var y = careers.unshift("Knight")
console.log("total careers after unshift : " + y);
shift career : Warrior
total careers after unshift : 3

shift는 맨 앞의 요소를 빼는 기능을, unshift는 맨 앞에 요소를 삽입하는 기능을 한다.


6. 오브젝트(Object)

구조체(struct) 처럼 내부에 여러 변수를 가질 수 있고 클래스(class)처럼 내부에 메소드를 포함하고 있는 형식이다. JSON이라고 많이 알려진 형식이다.


오브젝트의 선언
var obj = new Object();
var obj = {};


변수를 가진 오브젝트

hp와 mp를 가진 player를 생성해보자.

var player = {};
player.hp = 100;
player.mp = 300;

var player = {
    hp: 100,
    mp: 300
};


메소드를 가진 오브젝트

플레이어가 후려맞는(?) 기능을 넣어보자

var player = {
    hp: 100,
    mp: 300,
    hit: function (damage) {
        this.hp -= damage;
        console.log('player hit damage : ' + damage);
        return this.isDie();
    },
    isDie: function () {
        if (this.hp <= 0) {
            console.log('player is die...');
            return true;
        }
        return false;
    }
};

player.hit(150);
console.log('player left hp : ' + player.hp);
player hit damage : 150
player is die...
player left hp : -50


오브젝트 할당

위는 플레이어 객체가 선언됨과 동시에 사용되고 있다. 만일 클래스 혹은 구조체처럼 단지 구조만 선언하고 싶은 경우엔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오브젝트를 함수로 선언하면 된다.

var Player = function(name) {
    var name = name;
    var hp = 100;
    var mp = 300;
    
    return {
        hit: function (damage) {
            hp -= damage;
            console.log(name + ' hit damage : ' + damage);
            return this.isDie();
        },
        isDie: function () {
            if (hp <= 0) {
                console.log(name + ' is die...');
                return true;
            }
            return false;
        }
    }
}

var medic = new Player('medic');
medic.hit(50);
// medic hit damage : 50

var fireBet = new Player('fireBet');
fireBet.hit(100);
// fireBet hit damage : 100
// fireBet is die...

위는 클로저라는 개념을 응용한 방식인데 위와같이 선언하면 하나의 객체를 여러 변수에서 할당받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같은 기능을 하는 함수가 변수마다 새로 할당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럴때는 prototype을 사용하면 객체끼리 공유하는 함수를 만들 수 있다.

var Player = function(name) {
    this.name = name;
    this.hp = 100;
    this.mp = 300;
}

Player.prototype.hit = function (damage) {
    this.hp -= damage;
    console.log(this.name + ' hit damage : ' + damage);
    return this.isDie();
}

Player.prototype.isDie = function () {
    if (this.hp <= 0) {
        console.log(this.name + ' is die...');
        return true;
    }
    return false;
}

var medic = new Player('medic');
medic.hit(50);
// medic hit damage : 50

var fireBet = new Player('fireBet');
fireBet.hit(100);
// fireBet hit damage : 100
// fireBet is die...

다만 위 코드에서는 프로그래머 혹은 사용자가 medic.hp 변수를 접근이 가능하다.

console.log(medic.hp)
// 50

그럼 클로저는 왜 사용할까? 사실상 hp는 직접적으로 변경되어서는 안되는 은닉이 필요한 변수이다. 클로저를 응용한 방식에서는 2개의 함수만 반환했기에 hp변수에 접근할 방법이 없다.


7. 반복문

반복문이 이렇게 아래에 나오는 이유는 위에서 얻은 개념으로 반복문을 더욱 효율적으로 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래는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의 반복문이다.

for (var i=0; i<5; i++) {
    console.log(i);
}
var i = 0;
while (i < 5) {
    console.log(i);
    i++;
}
0
1
2
3
4


for (변수 in 오브젝트 또는 배열)
var arr = [10, 20, 30, 40, 50];

for (var i in arr) {
    console.log(i);
}
0
1
2
3
4

배열의 경우 배열의 인덱스가 i에 할당되어 반복한다.

var obj = {
    a: 1,
    b: 2,
};

for (var key in obj) {
    console.log(key + ' : ' + obj[key]);
}
a : 1
b : 2

오브젝트의 경우 키가 key에 할당되어 반복한다.


for (변수 of 배열)
var arr = [10, 20, 30, 40, 50];

for(var i of arr) {
    console.log(i);
}
10
20
30
40
50

of의 경우에는 배열의 값이 i에 할당되어 반복이 진행된다. 혹은 forEachmap을 이용하여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var arr = [10, 20, 30, 40, 50];

arr.forEach((value, idx) => {
    console.log(idx, value);
});

arr.map((value, idx) => {
    console.log(idx, value);
});

둘다 똑같이 아래의 결과를 출력한다.

0 10
1 20
2 30
3 40
4 50

속도는 forEach가 빠르다고 알려져있다. map은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사용되는 개념으로 forEach와 달리 새로운 객체를 반환한다는 차이가 있다.


8. 문자열

문자열은 가장 기본적인 구조인데 이렇게 뒤에 있는 이유는 알아둬야 할 함수가 생각보다 많아서다. 그 중에도 중요한 것만 기록할 예정이다.

var welcome = "ONDE Planet is the most peaceful space in the universe";

console.log(welcome.charAt(0));
// charAt(n) : n번째 문자를 출력한다. 결과는 O

console.log(welcome.charCodeAt(0));
// charCodeAt(n) : n번째 문자의 유니코드를 출력한다. 결과는 79

console.log(welcome.indexOf("x"));
// indexOf("?") : ?라는 글자가 있다면 글자의 인덱스를, 없다면 false(-1)을 출력한다. 결과는 -1

console.log(welcome.includes("space"));
// includes("?") : ?라는 글자가 있다면 true(0), 없다면 false(-1)을 출력한다. 결과는 0

console.log(welcome.replace("peaceful", "nasty"));
// replace("a", "b") : a를 b로 교체한다. 결과는 ONDE Planet is the most nasty space in the universe.

console.log(welcome.search("universe"));
// search("?") : ?라는 글자를 검색하여 첫 문자의 시작 지점을 알려준다. 결과는 46

console.log(welcome.slice(0,4));
// slice(n, n') : n~n'-1 까지의 문자를 가져온다. 결과는 ONDE

console.log(welcome.split(" "));
// split("?") : ?라는 문자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분리한다. 결과는 ONDE,Planet,is,the,most,peaceful...

console.log(welcome.trim());
// trim() : 앞, 뒤의 공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 값에서는 앞뒤에 공백이 없으므로 결과가 본래의 문자열과 동일하다.

console.log(welcome.length);
// length : 문자열의 길이를 반환한다. 결과는 55


더 알야할 내용들

relace의 경우에는 처음 발견된 문장만 변경하는데 만일 다수의 문장을 변경하고 싶은 경우엔 어떻게 할 수 있을까? 가령 replaceAll 처럼 말이다. 바로 정규표현식을 사용하면 되는데 여기선 자세한 내용을 다루진 않는다. 대략 아래와 같은 모양이다.

console.log(welcome.replace(/ /gi, "-"));
// 모든 공백이 -로 바뀐다.

slice에는 음수를 넣을 수 있다. 음수를 선택하면 뒤에부터 가져오므로 상당히 유용한 기능이며 배열에도 사용할 수 있다.

console.log(welcome.slice(-3));
// 맨 뒤에 3글자만 가져온다.


9. 수학연산

Math라는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연산들이다.

Math.abs(-3);
// Math.abs(n) : n을 절댓값으로 바꾼다.

Math.ceil(3.1);
// Math.ceil(n) : n값을 올림한다.

Math.floor(3.9);
// Math.floor(n) : n값을 내림한다.

Math.round(3.5);
// Math.round(n) : n값을 반올림한다.

var a = Math.random();
// Math.random() : 난수를 생성한다.

var b = Math.random()*10+10;
// Math.random()*x+y : y~x+y 범위에서 난수가 생성된다.

var c = Math.floor(Math.random() * (max - min)) + min;
// min 부터 max - 1 까지 범위의 난수


10. 형변환

// Number -> String
var num = 2018;
var str = String(num); // "2018"
var str = num.toString(); // "2018"

// String -> Num
var str = "2018.08";
var mInt = Number(str); // 2018
var mInt = parseInt(str); // 2018
var mFloat = parseFloat(str); // 2018.08

// Object -> String
var user = {
    name: '배진오',
    age: 24,
};
console.log(user); // { name: '배진오', age: 24 }

var strUser = JSON.stringify(user); // 문자열 JSON
console.log(strUser); // "{\"name\":\"배진오\",\"age\":24}"

var strUserToObject = JSON.parse(strUser);
// JSON 형식의 문자열이면 parse를 이용해서 Object로 변환할 수 있음


11. 전개구문

많은 분들이 이 글을 "Javascript ... 문법"을 검색해서 오시는 것을 확인하였다. 정작 이 글엔 해당 내용이 없어서 추가하게 되었다. 전개구문은 이름 그대로 배열이나 객체를 전개(展開, 내용을 진전시켜 펴 나감) 시킨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운 것 같다. 이 한자 표현이 맞는지는 책임지지 않는다.

우선 아래는 배열에 대한 전개구문이다.

const numbers = [1, 2, 3, 4, 5];
console.log([...numbers, 6, 7, 8, 9, 10]);
[1, 2, 3, 4, 5, 6, 7, 8, 9, 10]

위와같이 확장의 개념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const numbers = [1, 2, 3, 4, 5];
const copyNumbers = [...numbers];

복사의 개념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numbers를 바로 대입하는 것과는 달리 위 코드는 각각의 값이 복사된 전혀 새로운 객체가 할당된다. 깊은 복사가 이뤄지는 셈이다. 이제 이 이름이 착 달라붙지 않는가? 말그대로 자신의 개체들을 전개시키는 문법이다. 배열에서는 각각의 개체를 전개시키지만 객체에서는 키와 값을 전개시킨다.

const user = {
    name: '배진오',
    age: 24,
};
console.log({
    ...user,
    hobby: '게임'
});
{ name: '배진오', age: 24, hobby: '게임' }

위와같이 키와 값을 그대로 전개시킨다.

const user = {
    name: '배진오',
    age: 24,
};
console.log({
    age: 99,
    ...user,
});
{ name: '배진오', age: 24 }

위와같이 작성하면 전개구문에 의해서 age의 값이 덮어 써진다는 점을 고려하자. 전개 구문을 사용한 지점에서 해당 객체를 그대로 불러오는 개념으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12. 함수형 메서드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대부분 사용되는 map, filter, reduce 함수가 제공된다. 이터레이블 객체(배열 등)에서만 사용가능 한 점 참고하자. 우선 아래와 같은 배열에 대해서 각각의 함수의 사용방법을 알아보도록 할 것이다.

const users = [
    {
        name: '배진오',
        age: 24,
        hobby: '게임'
    },
    {
        name: '김아름',
        age: 24,
        hobby: '음악'
    },
    {
        name: '아이유',
        age: 26,
        hobby: '음악'
    },
];
map

map은 단순한 반복문이다. 다만 전달한 함수에 맞게 처리된 개체가 담긴 배열이 반환된다. 위 데이터에서 이름과 나이로만 구성된 오브젝트로 재구성 한다고 생각해보자.

const newUsers = users.map(function(user) {
    return {
        name: user.name,
        age: user.age
    };
});
console.log(newUsers);
[
  { name: '배진오', age: 24 },
  { name: '김아름', age: 24 },
  { name: '아이유', age: 26 }
]
filter

필터는 반복을 진행하면서 전달한 함수의 결과가 true인 개체의 배열을 리턴하는 함수다. 취미가 '음악'인 사람들만 뽑아보자.

const newUsers = users.filter(function(user) {
    return user.hobby == '음악'
});
console.log(newUsers);
[
  { name: '김아름', age: 24, hobby: '음악' },
  { name: '아이유', age: 26, hobby: '음악' }
]

그럼 이번에는 필터와 맵을 함께 사용하여 취미가 음악인 사람의 이름만 출력해보자. 이번에는 위와 다르게 화살표 함수를 이용하여 문법을 간소화 시켜보았다.

const newUsers = users
    .filter(user => user.hobby == '음악')
    .map(user => user.name);
console.log(newUsers);
[ '김아름', '아이유' ]
reduce

reduce는 배열의 개체를 누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누적으로 처리할 일이 뭐가 있을까? 예를들면 합계를 내거나... 배열을 오브젝트로 만들거나... 지금 당장 생각나는 부분은 2가지 인 것 같다. 그 외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을거다.

우선 reduce를 활용해 모든 유저의 나이의 평균을 내보자.

const userTotalAge = users.reduce((acc, user) => acc += user.age, 0);
console.log(userTotalAge / users.length);
24.666666666666668

reducemap이나 filter와 다르게 개체뿐만 아니라 누적된 값이 함께 매개변수로 들어온다. 필자는 이 변수를 대부분 acc(accumulate)라고 표현한다. 또한 중요한 점은 함수 다음에 초기값을 넣어줬다. 위 코드에서는 0. 맨 처음 실행될 때 acc의 값으로 reduce에서는 이 초기값을 꼭 설정해야 하는점을 기억하자.

이번에는 각각의 이름을 키로 나이를 값으로 사용하는 오브젝트를 reduce를 이용해서 생성해보자.

const usersObject = users.reduce((acc, user) => {
    return {
        ...acc,
        [user.name]: user.age
    }
}, {})
console.log(usersObject);
{ '배진오': 24, '김아름': 24, '아이유': 26 }

전개구문을 이용하여 기존 오브젝트의 키와 값을 살리면서 새로운 키와 값을 추가하는 방식이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신고하기
0분 전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첫 댓글을 달아보세요!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