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안에 취업하기 #0
미친놈 필자는 현재 병에 걸려있다. 일정이 없어진 1.14 부터 현재까지 아무것도 안하고 시간만 보냈다. 무슨 병인지는 몰라도 심각한 병인것은 틀림없다. "그게 뭐 어때서" 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필자는 현재 20대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 (필자는 2020.02 졸업 예정자)라는 것을 고한다. 미친게 분명하다. 무엇이든 바꿔야만 한다. 무엇을 해야할까를 고민을 해본 결과 뻔하게도 …
개발자들이 모여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미친놈 필자는 현재 병에 걸려있다. 일정이 없어진 1.14 부터 현재까지 아무것도 안하고 시간만 보냈다. 무슨 병인지는 몰라도 심각한 병인것은 틀림없다. "그게 뭐 어때서" 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필자는 현재 20대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 (필자는 2020.02 졸업 예정자)라는 것을 고한다. 미친게 분명하다. 무엇이든 바꿔야만 한다. 무엇을 해야할까를 고민을 해본 결과 뻔하게도 …
Hello, React React로 Hello World를 출력해보자. 기본적인 설치 방법과 사용 방법을 기록하기 위해서 작성한다. How to install npm install -g create-react-app How to make application create-react-app hello-world 위 명령어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디렉터리 아래 src 내부의 모든 파일을 지운 뒤 index.js와 index.css를 생성하고 index.js에 아래와 같은 내용을 …
Docker 아직 도커를 잘 모르는 상태로 작성하였음을 감안해주시길 바라며 내용은 주기적으로 바뀌거나 추가됩니다. 또한 Ubuntu 20.04 LTS 기준으로 작성되었음을 안내드립니다. *설치를 제외한 모든 명령어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설치 sudo apt-get install docker docker-compose Docker 설치 후 아무런 작업이 안해줬다면 권한의 문제로 sudo를 지속적으로 붙여 사용해야 하는데 이 경우 아래 …
2020년 1월 첫째주 굿모닝 식단입니다. (12.30~1.4) Blex 회원님들 2020년에는 행복한 일만 가득하길 바랍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December 2020. 12. 24. 다크모드가 시스템 옵션을 따라가도록 변경 2020. 12. 20. 몇가지 디자인 수정 (링크, 다크모드 색조 조절) 2020. 12. 16. 포스트 설정에 포스트 수정 버튼 추가 포스트 내부에 포스트 삭제 버튼 추가 내부 링크(같은 도메인)의 로딩 속도 향상 2020. 12. 14. 댓글 사용자 드래그 앤 드롭시 사용자 태그 …
이 글은 전산 기초와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인 객체 지향과 함수형 프로그래밍, 웹 아키텍처인 REST API,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인 TDD와 MVC 패턴, 자료구조인 순차 자료구조, 연결 자료구조, 스택, 큐, 트리, 힙, 그래프, 해쉬 등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고 TCP와 UDP의 차이점 등 네트워크 개념도 다룹니다.
2019년 12월 넷째주 굿모닝 식단입니다. (12.23~12.28) Blex 회원님들 늦었지만 메리 크리스마스 ^^ 입니다~
이 글은 자소서와 자기소개서 작성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과 공부를 바탕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자소서 작성 시 첨삭을 받아가며 자소서가 소설에 불과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 저자는 자기소개서 작성에 대해 책에서 배운 내용을 공유하면서 의지, 능력, 꾸준함 등의 요소를 강조하며 이를 토대로 자기소개서 작성을 조언합니다.
Pythonic은 파이썬스러운 코드를 의미하며,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가이드라인인 PEP 8을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 코드 구문을 한 줄에 하나씩 작성하고, private 속성은 _(언더스코어)를 사용하여 표현하며, early return 방식을 사용하는 등의 규칙이 있다. 또한 lambda와 filter, map 활용, with open을 사용하는 등의 방식도 추천된다. PEP 8을 준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pep8을 사용할 수 있다.
Rust가 추구하는 것은 C, C++보다 빠르거나 동등한 속도를 내면서도 Python 혹은 JavaScript 처럼 안정적인 것이었고 현재 러스트는 빠르고 안정적인 언어로 높이 평가 받고있다. 러스트는 어떻게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을까? 메모리 관리언매니지드 언어컴파일 언어에 속하는 C 혹은 C++는 프로그래머가 메모리를 제어한다. 프로그래머의 역량에 따라 속도 및 안정성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
React.js를 이용하여 About Me 페이지를 만들던 중 state의 개념과 onMouseOver을 이용하여 Hover(마우스 오버시 반응하는 것) 버튼을 만들어보았다. import React, { Component } from 'react'; import './HoverBtn.css' class HoverBtn extends Component {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this.handleMouseHover = this.handleMouseHover.bind(this); this.state = { isHovering: false, }; } handleMouseHover() { this.setState(this.toggleHoverState); } toggleHoverState(state) { …
Component 추출하기 function Comment(props) { return ( <div className = "Comment"> <div className = "UserInfo"> <img className = "Avatar" src = {props.author.avatarUrl} alt = {props.author.name} /> <div className = "UserInfo-name"> {props.author.name} </div> </div> <div className = "Comment-text"> {props.text} </div> <div className = "Comment-date"> {formatDate(props.date)} </div> </div> ); } 위 코드는 …
기초 폼 React.DOM.render { <h1>Hello, World!</h1> document.getElementById('root') } render는 react의 정수이다. 위에 코드를 살펴보면 H1태그를 작성하였고 root이라는 ID를 가진 element를 불러왔다. react는 h1태그와 같은 html을 rootID를 가진 element에 render해준다. 따라서 화면엔 Hello World가 출력된다. 그리고 이러한 문법을 JSX라고 한다. JSX const element = <h1>Hello World!</h1> JSX는 위 코드와 같이 변수에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