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처럼
블렉스는 지금까지 방문자 입장에서의 개발을 위주로 진행하였다. 웹사이트에 방문하는 사용자들에게 되도록이면 '괜찮아 보이는 사이트'로 보이기 위한 작업을 주로 해왔었다. 최근 서비스에 가입해 주시는 분들이 종종 계신데 실 사용자 입장에서의 디자인이 전혀 개선되지않고 있었기에 굉장히 부끄러웠다.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 (메인 페이지 이런 느낌으로 바꿔야지 헤헿) 설정창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 …
7 posts
블렉스는 지금까지 방문자 입장에서의 개발을 위주로 진행하였다. 웹사이트에 방문하는 사용자들에게 되도록이면 '괜찮아 보이는 사이트'로 보이기 위한 작업을 주로 해왔었다. 최근 서비스에 가입해 주시는 분들이 종종 계신데 실 사용자 입장에서의 디자인이 전혀 개선되지않고 있었기에 굉장히 부끄러웠다.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 (메인 페이지 이런 느낌으로 바꿔야지 헤헿) 설정창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 …
개선 방안 기존에는 매일 0시에 CRON 방식을 이용하여 포스트의 속성값을 변경하며 유지하였다. 처음 이 기능을 만들때는 그저 어제, 오늘, 총 조회수만을 간단하게 보여주는 것을 목표로했으나 포스트의 날자별 조회수를 보여주기 위한 방안을 다시금 생각해보게 되었고 부득이하게 데이터의 구조를 변경하게 되었다. 조회 측정 방식 리뉴얼 구조를 변경하면서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몇 가지 …
이 블로그는 정말 짜증나는게 포스트가 임시 저장이 안된다는 점이 매우 불편하다. 솔직히 지금까진 큰 무리없이 비공개 기능을 활용해서 어찌저찌 여차저차 써왔지만 임시 포스트 저장이라는 기능을 만들어 달라는 요청을 받아들여 해당 기능에 대한 구상과 DB작업은 끝냈음에도 불구하고 일하고 오면 피곤하다는 핑계로 계속해서 미루고 있다. 이번 주말에 만들어버릴 생각으로 계획 좀 해놓으려고 …
블로그 서비스 블렉스는 다양한 블로그 서비스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본연의 기능에 충실한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초기에는 마크다운 변환을 위해 GitHub API를 사용했으나, Parsedown 라이브러리를 활용해 서버를 열고 성능 개선을 이루었습니다. 이미지 업로드와 소셜 로그인 구현 등 다양한 기능을 개선하면서 조언을 구하는 등 진행 상황과 방향성을 불안해하면서도 노력하며 개발을 마무리했습니다.
December 2020. 12. 24. 다크모드가 시스템 옵션을 따라가도록 변경 2020. 12. 20. 몇가지 디자인 수정 (링크, 다크모드 색조 조절) 2020. 12. 16. 포스트 설정에 포스트 수정 버튼 추가 포스트 내부에 포스트 삭제 버튼 추가 내부 링크(같은 도메인)의 로딩 속도 향상 2020. 12. 14. 댓글 사용자 드래그 앤 드롭시 사용자 태그 …
December 2019. 12. 31. 사용자 배터리 시스템 도입 2019. 12. 27. 포스트 액션 네비게이션 상단으로 변경 타이틀 이미지가 전체 사이즈에서 절반으로 줄어듬 2019. 12. 26. 글쓰기 이미지 업로드 오류 수정 2019. 12. 25. 포스트 포스트의 메인 이미지의 디자인 오류 수정 2019. 12. 24. 댓글 URL의 경우 자동으로 링크 적용 댓글 …
개발 노트는 소프트웨어나 프로젝트의 진행과정, 변경 사항, 이슈, 해결책 등을 기록한 문서입니다. 주로 버전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되며, 팀원 간 의사소통과 업무 추적에 활용됩니다. 개발자들은 코드 변경 사항과 함께 새로운 기능, 버그 수정, 향상된 알고리즘 등을 개발 노트에 기록하여 프로젝트의 투명성을 유지하고 효율적인 협업을 도모합니다. 또한, 미래 업무 계획이나 기술적 도전 과제에 대한 아이디어도 기재하여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