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을 쓰는 시점을 기준으로 블로그에 게시된 글만 [[]] 태그에 링크하였습니다.
링크되지 않은 글(아직 올리지 않은 글)은 수정중이거나 올릴 계획이 없는 글입니다.
10월 31일부터 11월 6일까지의 정리
1. 시간 집계
- 열공시간 어플을 통해 시간 사용에 관한 기록을 남겼습니다.
- 유튜브 영상은 개인정보가 많이 들어가서 비공개처리하였습니다.
- 시간 집계는 수업을 제외한
자발적 공부
시간만 집계하였습니다.
A. 기록 시간 요약
a. 총 기록 시간
- 🔺 55시간 09분 48초
b. 하루 평균 기록 시간
- 🔺 7시간 52분 50초
B. 기록 시간 세부 사항
a. 기록 시간 그래프로 비교
- 이번주 공부 시간 & 수면 시간 비교 그래프
자발적 공부
시간만 집계하였습니다.a. 총 기록 시간
- 🔺 55시간 09분 48초
b. 하루 평균 기록 시간
- 🔺 7시간 52분 50초
B. 기록 시간 세부 사항
a. 기록 시간 그래프로 비교
- 이번주 공부 시간 & 수면 시간 비교 그래프
- 🔺 7시간 52분 50초
B. 기록 시간 세부 사항
a. 기록 시간 그래프로 비교
- 이번주 공부 시간 & 수면 시간 비교 그래프
- 이번주 공부 시간 & 수면 시간 비교 그래프
- 지난 4주간 공부 시간 비교 그래프
- 지난 4주간 수면 시간 비교 그래프
b. 시간 기록
21.10.31
기상 시간
- 7시 55분
취침 시간
- 22시 40분
총 수면 시간
- 🔺
9시간 25분
시작 시간
- 9시 47분
종료 시간
- 20시 59분
기록 시간
- 🔽
5시간 24분 27초
21.11.01
기상 시간
- 6시 10분
취침 시간
- 22시 50분
총 수면 시간
- 🔺
7시간 30분
시작 시간
- 7시 00분
종료 시간
- 21시 59분
기록 시간
- 🔺
9시간 45분 46초
21.11.02
기상 시간
- 6시 15분
취침 시간
- 22시 30분
총 수면 시간
- 🔺
7시간 25분
시작 시간
- 7시 6분
종료 시간
- 22시 11분
기록 시간
- 🔽
8시간 47분 48초
21.11.03
기상 시간
- 6시 15분
취침 시간
- 22시 30분
총 수면 시간
- 🔺
7시간 45분
시작 시간
- 7시 00분
종료 시간
- 18시 51분
기록 시간
- 🔽
4시간 56분 2초
21.11.04
기상 시간
- 6시 15분
취침 시간
- 22시 30분
총 수면 시간
- 🔽
7시간 45분
시작 시간
- 9시 6분
종료 시간
- 20시 30분
기록 시간
- 🔺
7시간 2분 0초
21.11.05
기상 시간
- 6시 15분
취침 시간
- 23시 50분
총 수면 시간
- 🔽
7시간 45분
시작 시간
- 9시 18분
종료 시간
- 23시 44분
기록 시간
- 🔺
11시간 10분 11초
21.11.06
기상 시간
- 7시 15분
취침 시간
- 2시 10분
총 수면 시간
- 🔽
7시간 25분
시작 시간
- 9시 39분
종료 시간
- 21시 52분
기록 시간
- 🔽
8시간 3분 34초
c. 자세한 시간 기록
21.10.31
21.10.31
기상 시간
- 7시 55분
취침 시간
- 22시 40분
총 수면 시간
- 🔺
9시간 25분
시작 시간
- 9시 47분
종료 시간
- 20시 59분
기록 시간
- 🔽
5시간 24분 27초
21.11.01
기상 시간
- 6시 10분
취침 시간
- 22시 50분
총 수면 시간
- 🔺
7시간 30분
시작 시간
- 7시 00분
종료 시간
- 21시 59분
기록 시간
- 🔺
9시간 45분 46초
21.11.02
기상 시간
- 6시 15분
취침 시간
- 22시 30분
총 수면 시간
- 🔺
7시간 25분
시작 시간
- 7시 6분
종료 시간
- 22시 11분
기록 시간
- 🔽
8시간 47분 48초
21.11.03
기상 시간
- 6시 15분
취침 시간
- 22시 30분
총 수면 시간
- 🔺
7시간 45분
시작 시간
- 7시 00분
종료 시간
- 18시 51분
기록 시간
- 🔽
4시간 56분 2초
21.11.04
기상 시간
- 6시 15분
취침 시간
- 22시 30분
총 수면 시간
- 🔽
7시간 45분
시작 시간
- 9시 6분
종료 시간
- 20시 30분
기록 시간
- 🔺
7시간 2분 0초
21.11.05
기상 시간
- 6시 15분
취침 시간
- 23시 50분
총 수면 시간
- 🔽
7시간 45분
시작 시간
- 9시 18분
종료 시간
- 23시 44분
기록 시간
- 🔺
11시간 10분 11초
21.11.06
기상 시간
- 7시 15분
취침 시간
- 2시 10분
총 수면 시간
- 🔽
7시간 25분
시작 시간
- 9시 39분
종료 시간
- 21시 52분
기록 시간
- 🔽
8시간 3분 34초
21.10.31
21.11.01
21.11.02
21.11.03
21.11.04
21.11.05
21.11.06
2. 뭐 했을까?
A. 공부
a. SQL
21.10.31
- 복습
- 1일전 복습
- [[Chapter 5 - SQL 기본]]
21.11.01
- 오늘 학습
- SQLD+ -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 SQLD+ - 데이터 모델과 성능
21.11.05
- 오늘 학습
- SQLD+ 6장
21.11.06
- 오늘 학습
- SQLD+ - 6장 & 연습문제
b. 손코딩
21.11.01
- 퀵 정렬
- 부등호 등의 틀린점이 몇 개 있었고, 시간복잡도의 경우를 전부 말하지 못함.
c. 창의수리
21.11.01
- 115, 15, 16, 19, ?
- ?, 2, 8, 2, 10, 18, 4, 12, 10, 6
21.11.02
a. SQL
21.10.31
- 복습
- 1일전 복습
- [[Chapter 5 - SQL 기본]]
21.11.01
- 오늘 학습
- SQLD+ -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 SQLD+ - 데이터 모델과 성능
21.11.05
- 오늘 학습
- SQLD+ 6장
21.11.06
- 오늘 학습
- SQLD+ - 6장 & 연습문제
b. 손코딩
21.11.01
- 퀵 정렬
- 부등호 등의 틀린점이 몇 개 있었고, 시간복잡도의 경우를 전부 말하지 못함.
c. 창의수리
21.11.01
- 115, 15, 16, 19, ?
- ?, 2, 8, 2, 10, 18, 4, 12, 10, 6
21.11.02
21.10.31
- 1일전 복습
- [[Chapter 5 - SQL 기본]]
21.11.01
- SQLD+ -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 SQLD+ - 데이터 모델과 성능
21.11.05
- SQLD+ 6장
21.11.06
- SQLD+ - 6장 & 연습문제
21.11.01
- 퀵 정렬
- 부등호 등의 틀린점이 몇 개 있었고, 시간복잡도의 경우를 전부 말하지 못함.
c. 창의수리
21.11.01
- 115, 15, 16, 19, ?
- ?, 2, 8, 2, 10, 18, 4, 12, 10, 6
21.11.02
21.11.01
21.11.02
우주여행 중인 조카 경이가 커플 행성에 불시착했다. 구조 신호를 보낼 수 있게 문제를 풀어라.
1 + 4 + 8 = 9 4 + 7 - 1 = 8 1 + 1 + 3 + 5 = 6 6 + 9 - 1 - 4 = ?
d. 면접 대비
21.11.01
21.11.01
[[면접 대비]]
21.11.02
[[면접 대비]]
21.11.03
[[면접 대비]]
21.11.04
[[면접 대비]]
21.11.05
[[면접 대비]]
21.11.06
[[면접 대비]]
B. 독서
a. Book
21.10.31
21.10.31
[[(빅데이터를 지탱하는 기술) 빅데이터 시대의 데이터 분석 기반]]
빅데이터를 지탱하는 기술 - 빅데이터 시대의 데이터 분석 기반 — mildsalmon (blex.me)
21.11.01
[[더 늦기전에 당신이 자본주의를 제대로 알면 좋겠습니다]]
21.11.02
[[더 늦기전에 당신이 자본주의를 제대로 알면 좋겠습니다]]
C. 운동
a. 걷기
21.11.01
21.11.01
21.11.02
21.11.03
21.11.04
21.11.05
3. 하루를 정리해보자.
A. 하루 평가
a. 2번에 기록하지 않은 것 중 오늘 한 것
21.10.31
- 네이버 기업문화 적합도 검증
D. 한주를 정리하며 생각 주저리
a. 2번에 기록하지 않은 것 중 오늘 한 것
21.10.31
- 네이버 기업문화 적합도 검증
D. 한주를 정리하며 생각 주저리
21.10.31
이번주는 기존에 목표로 세웠던 총 수면 시간보다 총 기록 시간이 더 많아진 한 주였다. 총 기록 시간 55시간 09분 48초, 총 수면 시간 55시간 00분 00초로 10분 내외의 경미한 차이지만 그래도 예전에 정보처리기사를 준비했을 때 처럼 기록 시간이 수면 시간을 앞질렀다.
기록으로 남기고, 통계를 내고, 시각화를 하니까 하루하루를 그냥 보낼때는 못느끼던 보람이 느껴진다. 물론 시간의 양이 질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렇게 많은 시간을 투입한다면 질도 올라갈 것이라는 기대도 있다.
BI 도구가 있다. 데이터 엔지니어링 자격 요건이나 우대 사항을 보면 가끔씩 tableau 사용 경험이 있다. 지금은 하는 것들이 많아서 집중적으로 공부하지는 못하지만 이런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시각화를 더 이쁘게, 더 많은 정보를 도출할 수 있게 해보는 것도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해야할 것들은 참 많다. 면접 준비, SQLD 자격증 준비, 데이터 엔지니어링 툴 경험, 책 읽기 등등. 뭔가 내가 로또에 당첨된다면, 뭔가 쫒기듯이 달려가는 지금의 모습과는 조금은 다르지 않을까? 생각도 든다. 삶은 정답이 없고, 질문을 많이 해야한다는 것이 최선이라는 것밖에 모르겠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Gh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