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SEO(검색엔진 최적화)에 대한 정리

구글 SEO(검색엔진 최적화)에 대한 정리

SEO란?

  •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 웹사이트가 검색 결과에 더 잘 보이도록 최적화하는 과정
    • 검색엔진 최적화 작업으로 검색로봇이 웹사이트를 방문했을 때, 검색 결과 상단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해당 사이트의 구조, 본문 콘텐츠, 링크 등을 개선하는 작업
    • 즉, 사이트를 검색 엔진이 선호하는 타입으로 최적화하는 작업
  • PPC(Pay per click) : 클릭 당 지불이라는 뜻으로 보통 검색 광고를 뜻함 CPC

SEO를 하는 이유

SEO를 하는 이유

  • 이미 관심이 가는 단어를 결정하고 검색창에 입력한 단어서비스 이용 또는 구매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음
  • 인터넷 잠재 고객들은 광고로 표시된 검색 결과보다 자연 검색 결과를 더 신뢰하기 때문에 브랜드 신뢰도를 올리고 정확한 마케팅을 할 수 있음

  • PPC는 한정된 클릭 수 당 고정 비용 계속 발생
  • SEO는 검색순위가 향상될수록 Organic Traffic(자연 발생 트래픽) 당 비용이 감소하여 기간이 지날 수록 ROI(Return on Investment)가 극대화

SEO 작업 3 요소

  • On-Server SEO(Technical SEO) : 서버 단위에서 검색 최적화
  • On-Page SEO(Body Optimization) : 웹페이지 HTML소스의 검색 최적화
  • Off-Page SEO(Link Building) : 웹사이트로의 링크의 다양화 및 고급화

On-Server(On-Page) SEO

웹사이트의 형식, 주소(URL) 체계, 폴더/파일 네이밍 체계, 사이트의 속도, 웹표준 규약, Javascript 등 프로그래밍 요소, XML 사이트맵의 존재 유무, Robot 태그 등 서버에서의 웹사이트 규칙, 규약, 형태 등을 최적화하는 작업

웹 사이트 형식, 주소 체계
  • URL 주소 길이 : 최대한 짧게하며, Depth(/)는 2~4 추천
  • URL에 특정 Parameter(!$#% 등 특수 기호) 사용 금지
  • 페이지의 주제를 나타내는 키워드 포함하고 URL Rewriting 기법 활용
    • URL Rewriting : URL 구조를 더 친화적이고 검색 엔진 친화적으로 수정하는 SEO 기법
      • example.com/page?id=123example.com/product/shoes처럼 변환하는 작업
      • 가독성이 향상되며, 사용자 링크 공유/북마크에 용이하며, 중복 콘텐츠 문제가 감소됨
  • 단어의 구분은 언더바(_)가 아닌 대쉬(-)사용
모바일 호환 및 페이지 속도 측정 : PageSpeed Insights
  • 웹페이지 URL 입력 후 모바일/데스크톱에서 호환성 및 페이지 속도 측정
웹표준 점검 : https://validator.w3.org
  • 브라우저가 다르더라도 잘 호환되어 보이는 정도를 점검
    • Address에 점검하고 싶은 주소 입력
깨진 링크 점검 : https://validator.w3.org/checklink
  • 404 Not Found 같은 링크는 세부 페이지까지 방문하여, 색인 작업하는 검색 로봇의 검색 활동을 중단시키는 원인
  • Address에 점검하고 싶은 주소 입력
XML 사이트맵 제작
  • 구글에 xml sitemap generator 입력 후 sitemap 생성
사이트 파악 및 오류 등 개선 : https://search.google.com/search-console/about

On-Page SEO

웹페이지의 HTML 소스를 최적화 하여, 검색 엔진이 해당 페이지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 실제 검색 엔진이 읽는 내용은 페이지에서 보이는 내용과 다르기 때문에, 페이지를 잘 읽어오면서 타이틀과 메타 설명문구, 그리고 본문에 주요 키워드에 대한 내용을 적절하게 넣어주어야 함

제목(Title)과 메타 설명(Meta Description)

제목(Title)과 메타 설명(Meta Description)

  • Title, Meta Tag : 검색 엔진이 사이트 방문 시 가장 인식하는 텍스트로 태그 내 문구를 통해 해당 페이지의 주제어 및 관련 키워드를 파악

    • Title은 브라우저 상단에 제목으로 표시되고, Meta Description은 검색결과의 사이트 설명문구
    <!-- title과 meta description 태그는 <html>의 <head>에 위치 -->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title>제목</title>
        <meta name="description" content="설명" />
        <meta name="keywords" content="키워드" />
        <meta property="og:title" content="제목" />
        <meta property="og:description" content="설명" />
      </head>
    </html>
    
    • Title 1. 소비자가 매력을 느낄만한 제목으로 작성하는 것이 검색에 유리
      1. 대상 키워드를 반드시 1회 포함(긴 타이틀의 경우 2회까지 가능하나 유의) - 제목에 많은 내용이 들어있다면 유익한 정보가 없다고 인식할 수 있음 - 키워드가 앞으로 나올수록 검색에 유리 - 키워드가 전체 밀도에서 많이 차지 할수록 검색에 유리
      2. 최대 문자 사용 수는 60자, 가능한 55자 내외로 작성
      3. 페이지 별 각각 다른 Title을 작성
    • Meta Description
      1. 클릭을 유도할 수 있는 매력적인 문구를 작성
      2. 문자 250자(약 2줄)를 넘지 않도록 작성
      3. 페이지 별로 각각 다른 Description을 작성
  • 타이틀과 메타는 페이지마다 다르게 작성하고 주요 키워드를 포함시킨다.

본문 Text 최적화 작업
  • 웹 페이지 구조를, 검색엔진이 인식 할 수 있는 텍스트 콘텐츠 위주로 구성
  • 본문 내 적절한 키워드 밀도가 중요, 가능한 앞에 키워드를 작성하는 것을 추천
  • 대상 키워드에 <H1> 또는 <H2> 태그 사용(<H1> 태그는 페이지 당 1회)
    • h 태그를 단계적으로 순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색인하는 데 좋음
  • 주요 키워드 강조 방식 활용 주요 키워드 강조 방식 표
  • 이미지 alt 속성
    <img src="이미지 주소" alt="">
    
    • 이미지에 Alt 태그 사용은 이미지 검색 지원에 도움을 줌
사이트 분석

Off-Page SEO

웹 사이트 외부에서 수행하는 작업으로, 유명한 사이트에 자신의 사이트 링크를 많이 등록하는 작업을 주로 함

  • Domain Authority(DA) & Page Authority(PA)
    • 사이트(도메인)와 페이지의 품질 지수
    • 100점 만점에 가까울 수록 높은 품질
    • 내 사이트보다 품질 지수가 높은 사이트에 링크를 거는 것은 긍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음
    • DA/PA 점수의 중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사이트의 인기도를 측정
    • 구글 검색창에 “da pa checker” 입력 후 검색하여 품질 지수 확인 가능

참고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신고하기
0분 전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첫 댓글을 달아보세요!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